과학은 변화를 좋아해요! -변화의 양면성-지구 온난화와 엘리뇨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과학은 변화를 좋아해요! -변화의 양면성-지구 온난화와 엘리뇨

by &#$@* 2022. 4. 6.
반응형

홍수가 신이 주는 선물이라고 생각하던 시대가 있었습니다. 이집트 나일 강 유역을 다스리던 파라오는 나일 강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홍수에 감사하여 신상을 앞세우고, 엄숙하게 행진하며 예물을 바치는 축제를 했습니다. 그 후 이집트 사람들은 나일 강의 홍수를 다스리기 위해 관개 시설과 저수지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지요. 또한 범람원을 이용하여 농사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늘려 가족 공동체와 도시의 발전을 이룩했습니다. 

 

이는 오늘날에도 적용되는 일입니다. 세계 지도를 펼쳐 놓고 살펴보면, 세계적으로 정치나 종교의 중심이 되는 도시는 대부분 강을 끼고 있음을 알 수 있지요. 템즈 강의 런던, 센 강의 파리, 볼가 강의 모스크바, 한강의 서울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그러나 기후의 이상 변화가 심해지고 있습니다. 자연재해로 다가오는 이상 기후들, 특히 지나친 산업화가 남긴 흔적이 비정상적인 기후 변화를 불러 인류의 미래를 어렵게 하고 있어요. 

 

생태계의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지구 대기권에서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온실 기체의 양이 지나치게 많이 증가하여, 지구 전체의 평균 기온이 올라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에서 찍은 1979년과 2005년 사진을 비교해 보면 실제로 엄청난 면적의 빙하가 녹아서 사라진 것을 알 수 있지요. 

 

기온이 올라가면 빙하가 녹고, 바닷물의 부피가 팽창하여 바닷물의 높이가 계속 높아지는데, 이를 가리켜 ‘해수면 상승’이라고 합니다. 과학자들의 관측에 따르면, 최근 약 100년 동안 바닷물의 높이가 약 20cm 높아졌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피해가 가장 큰 곳은 생태계입니다. 남극 주변의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면서 남극의 생태계에 큰 문제가 생겼습니다. 현재 남극에 사는 물개와 고래, 펭귄은 물론 해양 생태계 먹이사슬의 가장 기본이 되는 크릴새우까지 생존을 위협받고 있지요. 크릴새우는 얼음 층 밑의 플랑크톤을 먹고 사는데 남극의 얼음 층이 줄어들어 먹이가 먹어져 줄어든 것입니다. 먹이사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크릴새우의 멸종은 다른 생물의 생존에 영향을 끼치므로 이러다간 남극해는 생물이 살 수 없는 죽음의 바다가 될지도 모릅니다. 

 

지구 온난화는 인간의 삶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지요. 유엔 환경 계획(UNEP)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토의 80%가 해수면보다 1m 이상 높지 않은 몰디브는 앞으로 30년 뒤쯤 국토의 많은 부분이 물에 감기고, 2100년쯤에는 완전히 바다 속으로 가라앉을 수도 있어요. 또한 강 하구의 삼각주가 국토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는 방글라데시는 국토의 대부분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상 기후의 원인: 엘리뇨

1994년에 우리나라는 가뭄, 유럽은 홍수, 중동 지방은 폭설로 큰 어려움을 겪었었지요. 비슷한 시기에 지구의 한쪽에서는 가뭄이 생기고, 다른 쪽에서는 홍수나 폭설이 내리는 정반대 현상이 일어난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그 원인이 엘리뇨라고 합니다. 엘리뇨가 발생하는 해는 전 세계적으로 기후에 큰 변화가 생겨, 자연 재난이 끊이지 않기 때문이지요. 

 

엘리뇨의 정체는 바닷물의 온도 변화입니다. 태평양의 동쪽 페루 앞바다에서는 안초비라고 부르는 정어리가 많이 잡힙니다. 정어리는 그 지역 주민의 생계를 책임지는 아주 중요한 수산물이지요. 그런데 어떤 해는 정어리의 어획량이 크게 줄어듭니다. 이런 일이 일어나면, 사람들은 ‘엘리뇨’라고 외치면서 한숨을 짓는다고 하는데요. 엘니뇨는 원래 에스파냐어로 ‘아기 예수’라는 뜻인데, 크리스마스 전후에 자주 발생하여 붙여진 이름이지요. 

 

엘리뇨는 페루 근해 곧,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변화하여 발생합니다. 엘리뇨가 발생하는 해에는 그 지역의 수온이 낮게는 섭씨 2도, 크게는 섭씨 10도까지 높아집니다. 수온이 높아지면 바닷물 속 산소의 양이 줄어들어서, 플라크톤이 잘 번식하지 않지요. 그러므로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는 정어리 떼가 몰려오지 않는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엘리뇨의 원인을 찾기 위해 고민하다가 바람에서 답을 찾았습니다. 적도 근처에는 *무역풍이 계속해서 붑니다. 그런데 확실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약해지는 때가 있지요. 그때 서쪽으로 이동하는 해류도 약해져 찬 바닷물이 올라오지 않으므로 바닷물이 따뜻해집니다. 이렇게 평소와 다른 비정상적인 환경이 되면 엘리뇨가 생기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엘리뇨 현상이 전 세계의 기후를 혼란시키는 원인으로 밝혀져 문제가 심각해 지고 있어요. 엘리뇨가 가져오는 기상 이변과 그로 인해 피해는 매우 다양합니다. 어떤 곳에서는 가뭄이 들어 농산물 생산량이 많이 떨어지고, 어떤 곳에서는 홍수가 발생해 인명피해가 일어나고, 또 어떤 곳에서는 생태계가 급변해 희귀 생물이 멸종하고, 전염병이 심하고 번지는 것이지요. 바람의 변화가 바닷물의 온도 변화를 일으키고, 이것이 엘리뇨가 되어 지구 환경의 변화를 일으켜 각종 재해를 낳는 것을 보면, 자연의 변화는 마치 *도미노 현상처럼 연결이 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온실 효과란?

온실 효과란 온실의 유리가 빛은 받아들이고, 열이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막아 온실의 온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처럼, 온실 기체(석유나 석탄 등의 화석 연료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나 가축의 대량 생산에서 발생한느 메탄 등)가 온실의 유리와 같은 기능을 하여 지구의 온도를 높게 유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무역풍

아열대 지방에서 부는 바람. 옛날, 이 지역 바다에는 무역을 하기 위해 여러 나라로 돌아다니던 배가 많았는데, 이들이 주로 이용한 바람이라고 해서 무역풍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 도미노 현상

서양의 도미노가 게임에서 한 펫말이 넘어지면 다른 팻말도 연이어서 넘어지는 것에 빗대어 표현한 말이지요. 어떤 일이 그와 관련된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