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와 생각하기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10

그리스 로마 신화: 에로스와 프시케의 사랑 이야기와 그리스 신화를 되살린 이탈리아 르네상스 사랑의 화살을 쏘는 에로스 에로스는 로마 신화에서 아모르(연애) 또는 쿠피도(Cupido, 욕망)라 하고, 영어로는 큐피드(Cupid)라고 부릅니다. 에로스는 회화 작품 등에서는 원래 아름다운 청년의 모습으로 그려지지만 아프로디테의 아들이라는 설이 주를 이루면서 소년이나 꼬마 신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그 캐릭터도 ‘변덕스럽고 장난을 좋아하는 신’으로 인식이 바뀌어 갔지요. 이 꼬마 신은 대개 어깨에 날개를 달고 활과 화살을 휴대하고 있습니다. 그의 황금 화살을 맞은 이는 마음에 격렬한 애정이 싹트고 반대로 납으로 된 화살을 맞으면 혐오감이 일어나게 된다고 하지요. 이처럼 에로스는 신들과 인간의 마음을 지배할 수 있었습니다. 에로스는 가끔 장난기가 발동하면 순간적인 감정으로 화살을 쏘아 비극.. 2023. 3. 6.
그리스 로마 신화: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에 관한 이야기 연애를 주관하는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와 그녀의 남편 아프로디테는 사랑과 미의 여인으로 너무 유명합니다. 그녀의 특권은 무엇보다도 유례없이 뛰어난 미모였지요. 헤라와 아테나를 비롯한 올림포스의 여신들은 모두 고상하고 아름답지만, 아프로디테의 경우는 그 완벽한 용모와 더불어 남자들을 사로잡는 관능적 아름다움까지 갖추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자신보다 더 아름답다고 말하는 이는 신이든 인간이든 그냥 두고 보지 않았답니다. 본래 아프로디테는 풍요와 다산의 상징이었는데, 점차 사랑의 여신으로서의 성향이 짙어졌어요. 아프로디테는 신과 인간들의 사랑을 주관하면서, 육체의 쾌락을 긍정합니다. 그녀는 인간은 물론 올림포스의 세 처녀신, 즉 아테나, 아르테미스, 헤스티아를 뺀 모든 신들에게 사랑의 마음과 욕정을 품게 할 .. 2023. 3. 6.
그리스 로마 신화: 포세이돈과 하데스 이야기 바다의 신을 성나게 하면 어떻게 될까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은 바다와 샘의 지배자이며 대지를 뒤흔드는 대지의 신기이도 합니다. 포세이돈이 바다의 짐승들이 이끄는 전차를 타고 바다 위를 달리면 고요했던 바다는 큰 폭풍을 일으키고, 반대로 큰 폭풍이 고요하게 평정되기도 했습니다. 바다의 날씨는 포세이돈에 의해 결정되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항해에 나서는 이들은 모두 포세이돈을 두려워했습니다. 포세이돈은 성정이 거칠고 집념이 강한 성격이었습니다. 트로이아 전쟁의 영웅 오디세우스는 끝을 뾰족하게 깎은 나무 기둥으로 그의 아들 폴리페모스의 눈을 멀게 했어요. 장님이 된 폴리페모스는 아버지에게 복수를 간청했습니다. 이 때문에 포세이돈의 노여움을 산 오디세우스는 트로이아 전쟁이 끝난 후에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해 무.. 2023. 3. 6.
그리스 로마 신화: 바람둥이 제우스와 정실 헤라 질투에 관한 이야기 *제우스의 애인과 자식들 1. 에우리노에: 카리테스(미와 우아함을 주관하는 3 여신) 2. 데메테르(곡물의 여신): 페르세포네(훗날 하데스의 아내가 됨) 3. 므네시모네(기억의 여신): 무사이(음악을 주관하는 9 여신) 4. 레토: 아포론과 아르테미스 5. 마이아: 헤르메스 6. 세멜레(테바이의 왕녀): 디오니소스(포도주의 신) 7. 안티오페: 암피온(티바이의 영웅)과 제토스 8. 칼리토스(님프): 아르카스(아르카디아인의 조상) 9. 이오(헤라의 여신궁): 에파포스(이집트의 왕) 10. 에우로페(티로스의 왕녀): 미노스(크레타의 왕) 11. 다나에(아르고스의 왕녀): 페르세우스(메두사를 물리친 영웅) 12. 니오베: 아르고스(아르고스인의 시조) 13. 알크메네(페르세우스의 자손): 헤라클레스(그리스 신화.. 2023. 3. 6.
반응형